달려진 답글이 대부분이 "그냥 쓰던거 쓰지..." 혹은 "한번 깔아봤는데
다시 IE로 돌아왔다"는 반응이 대부분이었습니다.
그 커뮤니티만의 국한된 경우지만 대부분의 경우랑 다를바 없다고 느껴지더군요.
물론 이 기사로 인해서 일부는 꾸준히 불여우를 기본 브라우저로 사용
하실 분도 계시겠지만 장기적으로 봤을땐 호기심에 깔았다가 다시 IE로
돌아가는 대부분의 IE 사용자들을 바꾸기 위해선 역시나 웹 개발자들과
업체 관계자들에게 웹 표준을 알리고 변화를 유도하는게 가장 현실적인것
같습니다.
불여우가 일반 사용자들에게 웹의 표준과 비표준의 이해를 시키는데 효과가
그리 크지 않는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론 mozilla.or.kr 에서 확장 기능이나 테마에 대한 부분도
서비스를 제공해서 일반 사용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전체적인 분위기도
개발자나 파워유저들만의 공간이 아닌 모질라 혹은 불여우는 재밌고 즐겁다란걸
느낄수 있는 분위기도 필요할것 같아요.
현재 커뮤니티의 경우 제로보드 스타일에 익숙한 사람이 대부분이라 접근이
그리 용이하지 않은것도 하나의 문제라면 문제이라고 봅니다.
조선일보 기사로 인해 미디어의 힘이란게 얼마 만큼 강한지 느꼈네요.
그래도 한국은 조금씩 변화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