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다면 제가 바꿔 친 부분 중에 그 해당부분이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어쨌든 좋게 해석.. 좋게 받아들이고 두번째 수정을 들어가야 겠어요.

Code: Select all
function prepareForStartup()
{ ....
gBrowser.docShell <-- 이 라인부터
....
.browserDOMWindow = new nsBrowserAccess(); <-- 여기까지 삭제
....
}
Code: Select all
nsBrowserAccess.prototype =
{
....
var url = aURI ? aURI.spec : "about:blank";
....
loadURI(url, null);
....
}
별로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제가 전혀 다르지 않다고 한 것은 nightly 기준이 아니라 정식판 (스위트 1.7이나 파이어폭스 1.0 등)을 기준으로 얘기한 것입니다.삽 wrote:좀 의문스런 점이 있어요. 제가 받은 nightly (잘못 받은걸까요?) 한글에서는 xpcom을 1.7시리즈 , 영문에서는 1.8시리즈이더라고요. 제가 또 다른 문제점에 대해 시험을 해보려 ActiveX Control을 설치해보다가 nightly 한글판에서만 작동하길래 이리저리 살펴보니 xpcom버전이 달라서 그렇더군요.빛알갱이 wrote: 한국어판과 영어판은 완전히 100% 동일합니다. 다른 것은 UI에서 쓰이는 언어와 몇몇 기본값(기본 인코딩, 검색 엔진 등) 밖에 없습니다.
우찌 된 일일까요?
xpcom의 XP는 Windows XP의 XP가 아니라 'cross platform'의 약자입니다. MS의 COM과 '비슷'하면서 다중 플랫폼을 지원하는 COM이 XPCOM입니다.삽 wrote: xpcom.dll 이나 다른 dll 속에 있을 법한 aURI...문제가 있는 것일까하는 의문
상대적으로 열세가 아닌(?) XP에 대한 고의적인 압박은 아닐까하는 의문
게으른 사람들을 위해 파놓은 함정에 빠져들고 있지않나하는 의문
* -an : -사람, -언어, -의빛알갱이 wrote: 한국어판 (Korean은 한국어이지 한글이 아닙니다 !! 한글은 'Hangul'이나 'Korean script', 'Korean alphabet'입니다.)은 최신 nightly라고 해 봐야 1.7이지만 (차니님이나 다른 번역하시는 분들이 알파나 베타 버전은 말할 것도 없고 매일 밤 몇 개씩 나오는 nightly 버전에 맞춰서 번역을 할 정도로 시간 여유가 많으신 것이 결코 아니므로), 영어판 nightly는 따로 번역이 필요 없으므로 매일 새로 빌드하는 것이 그대로 최신 영어판 nightly가 되는 것입니다.
xp의 뜻도 모르고 com만 보고 잘못 판단했습니다. 18일에 맑은글님과 주고 받으신 내용을 보고 bug.#266759를 참고하려 했는데 cpp수정이라니, 털썩 주저앉습니다.빛알갱이 wrote: xpcom의 XP는 Windows XP의 XP가 아니라 'cross platform'의 약자입니다. MS의 COM과 '비슷'하면서 다중 플랫폼을 지원하는 COM이 XPCOM입니다.
(http://www.mozilla.org/projects/xpcom/) 그리고, 지금 논의되고 있는 문제는 xpcom.dll과는 거의 관련이 없고, necko.dll이나 docshell.dll과 관계가 있습니다. 그런데, firefox에서는 necko나 docshell 등이 하나의 dll로 되어 있지 않고 한데 묶여 있어서 아마 찾을 수 없을 것입니다.
firefox가 각 dll/so를 스위트처럼 따로 떼어 놓는 방식이라면 간단하게 해당 dll만 바꿔서 제가 올리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그런데, 그렇지 않기 때문에 좀 골치 아픕니다. 따라서, 삽님이 찾으신 방법을 임시 대안으로 쓸 수도 있을 듯 싶습니다.삽 wrote:cpp이면.... 포기하렵니다. (컴파일에 아픈 기억이 있어요~)
별 말씀을....바쁘신데 신경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엉뚱한 방향으로만 튀고 단순한 내용도 알지 못하는 데다 또 엉뚱한 관심이 들어버렸답니다
* -an : -사람, -언어, -의빛알갱이 wrote: 한국어판 (Korean은 한국어이지 한글이 아닙니다 !! 한글은 'Hangul'이나 'Korean script', 'Korean alphabet'입니다.)
'aURI'에서 'a'는 변수가 local 변수가 아니고, 함수의 argument임을 가리키는 하나의 약속/관행입니다. 모질라 소스 코드를 보면 's'는 static member variable, 'm'은 member variable, 'g'는 global variable를 가리키기 위해 쓰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모두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많은 개발자들이 그 관행을 따르고 있습니다.)기로 하고, js를 건드리던 중 aURI가 느낌에 걸렸는데, 찾을 곳은 없고요.
(a가 ascii를 뜻하는 건, 설마 아니겠지요?)
아, 두번째 문제 말씀이죠?빛알갱이 wrote:local에 있는 html 파일 안에서 또다른 local에 있는 html 파일 (한글이 이름에 들어간)을 참조했을 때 안 열리는 문제는 아마도 'about:config'에서 'network.standard-url.encode-utf8'을 true로 해 놓으셨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로 보입니다. 그것을 false로 해 놓을 경우 문제가 없습니다.
Code: Select all
<object type="video/x-ms-wmv" width="700px" height="340px" >
<param name="FileName" value="movie.wmv" />
<param name="ShowControls" value="1" />
<param name="ShowDisplay" value="0" />
<param name="ShowStatusBar" value="1" />
<param name="AUTOSTART" value="1" />
</object>
아, 모질라가 내부적으로 처리하는 (html, jpg, gif, png 등) 파일이 아니라 WMP에 넘겨 주는 파일 형식 얘기였군요. 그렇다면, 그 문제는 다른 얘기입니다. 모질라가 쓰는 URL과 WMP가 이해하는 URL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입니다. 분명히 그에 대한 버그가 있는데, 한참을 찾아도 못 찾겠군요.삽 wrote:아, 두번째 문제 말씀이죠?빛알갱이 wrote:local에 있는 html 파일 안에서 또다른 local에 있는 html 파일 (한글이 이름에 들어간)을 참조했을 때 안 열리는 문제는 아마도 'about:config'에서 'network.standard-url.encode-utf8'을 true로 해 놓으셨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로 보입니다. 그것을 false로 해 놓을 경우 문제가 없습니다.
network.standard-url.encode-utf8 : false (default)
network.standard-url.escape-utf8 : true (default)
둘 다 기본값으로 되어 있습니다. 어딘가 올려둔 부분이 있을텐데 못찾아서 다시 올려봅니다. 이런 경우입니다.
#### test.html ####test.html 과 movie.wmv는 같은 경로에 있다면 문제없이 재생이 되어야 겠지요? 하지만...Code: Select all
<object type="video/x-ms-wmv" width="700px" height="340px" > <param name="FileName" value="movie.wmv" />
공백이 들어간 경로명이나 한글 경로명의 경우 재생이 되지 않습니다.
...
답이 늦어서 죄송합니다.맑은돌 wrote: 로케일을 EUC-KR에서 UTF-8로 바꿀 때 겪을 수 있는 문제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당장에 KDE(버전이 한컴 3.1 FTP에 들어 있는 것이라서 낮습니다. 3.1.1인가?)나 그밖에 터미널... 다른 응용의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문제.
자료를 저장하는 디렉토리 이름이 거의 한글이거든요. UTF-8로 바꿔서 아무런 문제가 없는지 걱정이라서...
Code: Select all
set fileencodings=ucs-bom,utf-8,euc-kr,latin1
최근(2년보다 더 오래된 버전이 아니라면)에 나온 KDE 3.x나 Gtk2에 바탕을 둔 Gnome이랴면 UTF-8 locale 사용에 별 지장이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다른 데스크탑 매니저/윈도우 매니저의 경우 제가 잘 모르겠습니다.필요하다면 데스크탑 환경을 KDE 를 올린다거나, 그놈으로 바꿔야 하는지의 여부도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kldp.org 에서 찾아보니 스크립트로도 할 수 있는 것을 보았으나빛알갱이 wrote:
파일 이름 변경을 하시고자 한다면 다음 도구를 이용하시면 편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http://osx.freshmeat.net/projects/convm ... _id=144059
http://j3e.de/linux/convmv/
제가 KDE 3.1.1 데스크탑 환경에서 한텀xf를 주로 쓰는데 utf-8로 바꾼 뒤에는 쓰기가 껄끄럽네요. 그래서 KDE 3.3.2 또는 그놈 2.8.2로 올릴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utf8을 지원하는 gterm이 그놈에는 있지만 KDE 3.3.2에는 있을지...)빛알갱이 wrote: vim을 편집기로 쓰신다면 ~/.vimrc에 다음을 넣어 두시면 편리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자동으로 EUC-KR인지 여부를 검사해서 편집할 수 있도록 해 주니까요.Code: Select all
set fileencodings=ucs-bom,utf-8,euc-kr,latin1
아래 주소 참고하세요. 그런데 리눅스사랑넷 링크가 깨졌네요.하지만 KDE 3.3.2는 지역화 파일이 없는 것 같아서(i18n 방에 ko 파일이 없음) 설치해 보고 그놈 2.8.2로 바꾸던지 해야겠습니다. (그동안 한컴리눅스의 KDE 3.1.1을 쭉~ 써왔는데... 아쉬운 생각이)
저는 저 도구를 알기 훨씬 전인 2002년에 UTF-8로 전면 전환했으므로 script로 바꿨지요맑은돌 wrote: kldp.org 에서 찾아보니 스크립트로도 할 수 있는 것을 보았으나
알려 주신 도구를 써서 쉽게 한글 파일 이름을 바꿨습니다. 쉽고 편하게 바꿔 주더군요.
(convmv 1.08판)
저는 hanterm-xf는 한번도 안 썼습니다. 왜냐하면 UTF-8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지요. hanterm.org에 있는 한텀은 UTF-8을 잘 지원합니다. 하지만, 그것도 최근 2년 동안에는 쓴 적이 거의 없습니다. 그냥 xterm과 한글/한자 입력기를 붙여 쓰면 아무런 불편이 없을 뿐 아니라 훨씬 많은 글자(제가 가끔 입력해야 하는 한글 첫가끝 자모, 타이, 그리스, 키릴, 라틴 글자 가운데 KS X 1001 범위 밖인)를 표시할 수 있으니까요. 다음과 같은 스크립트를 씁니다. iso10646 비트맵 폰트는 박원규님 웹 사이트(http://chem.skku.ac.kr/~wkpark/project)에 가 보면 있을 것입니다. konsole이나 gnome-terminal도 UTF-8을 잘 지원하기는 하지만 버전에 따라 글자폭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fontconfig와 pango 버전도 문제될 수 있고요)제가 KDE 3.1.1 데스크탑 환경에서 한텀xf를 주로 쓰는데 utf-8로 바꾼 뒤에는 쓰기가 껄끄럽네요.
Code: Select all
LC_ALL=ko_KR.UTF-8
XMODIFIERS=@im=nabi
#XMODIFIERS=@im=SCIM
export LC_ALL XMODIFIERS
exec xterm -fx \
"-misc-baekmuk gulim-medium-r-normal-*-12-120-*-*-c-120-iso10646-1,\
-*-*-medium-r-normal--12-*-*-*-*-*-iso8859-*" \
-fn "-misc-fixed-medium-r-semicondensed--13-120-75-75-c-60-iso10646-1" \
-fw "-misc-gulim-medium-r-normal-*-12-120-75-75-c-120-iso10646-1" $@
예, 님도 새해 복많이 많으세요.새해에도 건강하시기를 바랍니다~
좋은 정보 주셔서 고맙습니다. 그날 3.3.0 ko의 rpm과 3.3.2 꾸러미를 받아서 준비해 놓았습니다.atclock2 wrote: 아래 주소 참고하세요. 그런데 리눅스사랑넷 링크가 깨졌네요.
http://www.suselinux.co.kr/suse/?doc=bb ... 1&wr_id=40
RPM Search에서 찾아보니 한 곳이 있습니다.
ftp://ftp.nluug.nl/pub/os/Linux/distr/y ... noarch.rpm
한글 윈도우 XP에서도 마찬가지 에러가 발생합니다.nethyun9 wrote:저는 HTML 테스트용으로 내 문서 폴더에 'test.htm'이라는 파일을 만들어서 사용합니다.
그런데 Firefox에서는 '페이지 읽기 에러'라면서 파일을 읽지 못합니다.
--------------------------------------------------------------------------------------------------------
파일 없음 에러
/c:/Documents and Settings/%C8%AB%B1%E6%B5%BF/My Documents/test.htm 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 위치를 확인하고 다시 시도하세요.
파일을 읽을 수 없습니다.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거나 권한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
폴더 이름이 한글로 되어있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이것은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저는 윈도우2000사용자 입니다.
Users browsing this forum: Ahrefs [Bot], Amazon [Bot] and 1 gu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