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nderbird를 사용하지 않아서 프로그램 자체에서 지원하는지,
머지 툴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그냥 카피 형태로 복사하시려면
Code: Select all
Copy /b attachment1+attachment2+attachment3 target.ext
형태로 해보시길 바랍니다.
CMD에서 COPY /?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b 스위치는 파일이 이진파일이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일반 파일 복사에서는 사용할 일이 없지만 파일 합치기 용으로 Copy 명령을 사용할 경우 순수 텍스트 파일 합치기가 아닌 이상 이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옳습니다.
그런데, 만족스러운 답변이 될 것같지는 않군요. 죄송합니다.
보통 파일 자르기를 하면 세가지 방법이 있는데,
A(112233)라는 파일을 잘라서 a-1, a-2, a-3을 만든다고 가정할 때,
1. 자르기만 한다. ex) a-1(11), a-2(22), a-3(33)
장점 : 어디서나 Copy /b 나 ZIP파일로 묶기(무압축 옵션이용)로 해결 가능.(copy의 명칭은 달라도 운영체제 기본 내장이고 ZIP도 마찬가지임.)
단점 : 파일의 파괴로 인한 무결성 위험.
기본적으로 파일 무결성 검사를 위해 사용하지만 CRC나 MD5도 이경우에 덧붙혀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는 무결성 툴이 필요함.
2. 자르고 첫 번째에다가 관련 헤더를 포함.
7-zip이 이 방법을 사용하여, 여러 사용자를 경악케 한 적이 있습니다.
ex) a-1(11; A의 자른 파일임. 에러 정정등등), a-2(22), a-3(33)
윗 방법보다는 나아 보이지만, 첫 번째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파일의 무결성 보장 못함.
3.자르고 모든 파일에다가 관련 헤더를 포함.
ex) a-1(11; A의 자른 파일임. 에러 정정등등), a-2(22; A의 자른 파일임. 에러 정정등등), a-3(33; A의 자른 파일임. 에러 정정등등)
안정성 및 무결성을 그나마 가장 확보했지만, 자른 프로그램의 방식을 모르는 경우 오히려 난감한 상황 발생.
1번이 쓰기는 편하지만 무결성 및 안정성 문제로 MD5나 CRC 코드를 포함해서 3번 방식으로 하는 경우가 다수인데, 이경우 copy /b로는 해결 불가니까요.
참고로 7-zip이 경악케 한 이유는 7-zip은 2번 방식으로 압축파일 나누기를 합니다. 문제는 다른 압축 프로그램에서 7z포맷을 지원하면서 제작자들이 표준(zip) 또는 RAR의 3번 처리 방식으로 처리(된다고 생각했나 봅니다.)하려고 하니, 합치기가 안 되는 불상사가 나타난 겁니다. 게다가 그 역도 성립하니 난감하죠.
쓸모 없는 정크 정보일 지도 모르겠지만, 일단 적어 보았습니다.
잘 못 알고 있는 정보에 대해 알려 주시는 분도 있다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