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카사 홈페이지에서
-
- 서포터즈
- Posts: 85
- Joined: 2004 11 25 08:07 31
- Contact:
그냥 구글의 환경설정에서 지정하는 것은 어떤가요? http://www.google.com/preferences 에서 언어를 한글로 설정하면 됩니다. 언어 정보는 쿠키에 저장되는 것 같구요.
-
- 해커
- Posts: 1146
- Joined: 2004 01 15 20:06 36
Re: 저도 그랬는데..
한글이 아니라 한국어입니다. 그런데, 혹시 불여우 한국어 버전에 그 부분이 '한글'이라고 되어 있다면 고쳐야겠군요. 고쳐 주세요, 차니님oragi wrote: 그곳에 한글(korean[ko])를 추가하시고 선택하신 다음 move up버튼을 누르셔서
최상위로 올려주세요.
그러면 영어로 나오질 않고 한글로 나옵니다.
얼마 전에 한국 마이크로소프트 사장이 회사 내 '한글 [sic] 모임'에 대해 자랑스럽게 얘기하는 인터뷰 기사를 보았는데, 제 나라 말을 뭐라고 부르는지도 모르면서 무슨 '제 나라 말 바로 쓰기'니 '제 나라 말 사랑'을 한다는 얘기인지...
-
- Posts: 26
- Joined: 2005 09 14 11:56 20
- Contact:
Re: 저도 그랬는데..
조금 이해가 안되는데, 한글과 한국어의 차이가 뭐죠?빛알갱이 wrote: 한글이 아니라 한국어입니다. 그런데, 혹시 불여우 한국어 버전에 그 부분이 '한글'이라고 되어 있다면 고쳐야겠군요. 고쳐 주세요, 차니님
얼마 전에 한국 마이크로소프트 사장이 회사 내 '한글 [sic] 모임'에 대해 자랑스럽게 얘기하는 인터뷰 기사를 보았는데, 제 나라 말을 뭐라고 부르는지도 모르면서 무슨 '제 나라 말 바로 쓰기'니 '제 나라 말 사랑'을 한다는 얘기인지...
제가 보기에 한국어는 한자어고, 한글은 순수한 우리말로 구성되 것외에는 차이가 없는 것 같은데요.
-
- 해커
- Posts: 1146
- Joined: 2004 01 15 20:06 36
Re: 저도 그랬는데..
한글이라는 표기 체계가 발명되기 전에도 한국어는 쓰였고, 한글이 어느 날 이 세상에서 사라져도 한국어는 쓰일 것입니다. 한국어는 한글이라는 표기 체계가 아닌 다른 표기 체계로도 적을 수 있고 (한글이 지금까지 나온 한국어용 표기 체계 가운데 가장 한국어를 적기에 좋은 성질을 지니기는 했지만요), 표기 체계와 무관하게 말할 수 있습니다.
아이 엠 어 보이 : 한글로 적은 영어
I am a boy : 라틴/로마 글자로 적은 영어
나는 소년이다 : 한글로 적은 한국어
Nanun Sonyonida : 라틴/로마 글자로 적은 한국어
아이 엠 어 보이 : 한글로 적은 영어
I am a boy : 라틴/로마 글자로 적은 영어
나는 소년이다 : 한글로 적은 한국어
Nanun Sonyonida : 라틴/로마 글자로 적은 한국어
-
- 서포터즈
- Posts: 85
- Joined: 2004 11 25 08:07 31
- Contact:
앗, 저도 '언어를 한글로' 라고 했군요. '언어를 한국어' 라고 해야 맞죠? 은연 중의 실수였습니다.
그런데, 한국어와 그 표기 체계가 무관하다는 것은 너무 이론적인 주장 아닐까요? 현실적으로 Nanun Sonyonida 는 한국어를 로마 글자로 적어 본 것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불여우에 '한글로 적은 한국어' 라고 적을 필요는 없겠죠?
또, 사전에 보면 한글이 고유어를 가리키기도 합니다. 사전에 올라와 있는 정도면 이미 어느 정도 세력을 얻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한글이 글자 -> 고유어 -> 한국어 의 수순을 밟으며 세력을 확장하는 중일까요? 그럼 안되겠지만, 머지 않아 3번에 '한국어를 잘못 가리키는 말' 이라고 올라갈지도 모르겠네요.
그런데, 한국어와 그 표기 체계가 무관하다는 것은 너무 이론적인 주장 아닐까요? 현실적으로 Nanun Sonyonida 는 한국어를 로마 글자로 적어 본 것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불여우에 '한글로 적은 한국어' 라고 적을 필요는 없겠죠?
또, 사전에 보면 한글이 고유어를 가리키기도 합니다. 사전에 올라와 있는 정도면 이미 어느 정도 세력을 얻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한글이 글자 -> 고유어 -> 한국어 의 수순을 밟으며 세력을 확장하는 중일까요? 그럼 안되겠지만, 머지 않아 3번에 '한국어를 잘못 가리키는 말' 이라고 올라갈지도 모르겠네요.
한글
① 우리 나라 글자의 이름. 훈민정음 28 낱자 가운데 현대말에 쓰이는 자음 글자 14개와 모음 글자 10개인 낱소리 글자.
② 한자말이나 외래어에 상대하여 우리 토박이말(고유어)을 잘못 일컫는 말.
~ 사전. ~ 이름.
-
- 해커
- Posts: 1146
- Joined: 2004 01 15 20:06 36
당연히 관계가 깊습니다. 한글은 한국어를 적기에 가장 적합한 표기 체계라고 제가 적었고요. (이것을 근거도 없이 외삽해서 다른 나라 말을 적기에도 한글이 적합한 듯이 얘기하는 사람들이 있지요.) 제가 얘기한 것은 '표기 체계와 언어는 별개의 개념에 속하는 것이고 둘을 뒤섞어서는 안 된다'입니다. 역사적으로 보아도 한국어 표기 방법에 한글 이외에 다른 방법이 쓰였다는 것은 이미 잘 아실 것이고요. 다른 언어의 보기를 몇 개 들어서 제 의도를 명확하게 해 보지요. 구 소비에트 연방에 속했지만 지금은 독립한 나라에서 쓰이는 언어 중 몇몇은 로마/라틴 글자로도 적고 키릴 글자로도 적습니다. 또, 어떤 것은 키릴 글자로도 적고 아랍 글자로도 적습니다. 몽고어의 경우에도 현대 몽고어는 키릴 글자로 적지만, 몽고가 소련의 영향권에 들어 가기 전에는 몽고 글자를 썼습니다. 베트남어는 프랑스 식민지가 되기 전에는 한자와 그 베트남식 '변형'으로 적었지만, 현대 베트남어는 전적으로 라틴/로마자로만 적습니다.jeongkyu wrote:앗, 저도 '언어를 한글로' 라고 했군요. '언어를 한국어' 라고 해야 맞죠? 은연 중의 실수였습니다.
그런데, 한국어와 그 표기 체계가 무관하다는 것은 너무 이론적인 주장 아닐까요?
또, 현대 한국어조차도 한글로만 적지는 않습니다. 한자를 섞어 쓰기도 하고, 로마자를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현대 중국어(PRC)는 대부분 경우에 한자로 표기하지만, 로마자(Pinyin)을 표기할 때도 있습니다.
반대의 경우도 있지요. 라틴 글자는 오늘날 서부 유럽 언어 뿐 아니라 아프리카의 여러 언어와 인도네시아어, 베트남어 등 많은 언어를 적는데 쓰입니다. 키릴 글자도 러시아어, 알바니아어, 불가리아어, 몽고어, 우크라이나어 등을 적는데 쓰이고요. 힌두어를 적는데 쓰이는 데바나가리(?) 글자는 힌두어 이외에 몇몇 다른 인도에서 쓰이는 언어를 적는데에도 쓰이고요. 이런 경우에 언어를 써야 할 자리에 표기 체계나 문자 이름을 쓸 수 없음은 명백합니다.
한국에서 해외로 나가는 인터넷 회선 용량이 56kbps에 불과했던 호랑이 담배 먹던 시절에 유학생들은 - 회선 속도가 느려서가 아니라 한글 터미널 프로그램이 없어서 - 'telnet kids.kornet.nm.kr | hcode -kr' 혹은 'telnet ara.kaist.ac.kr | hcode -kr' 같은 방식으로 인터넷 게시판에 올라온 글을 읽었지요. 그렇게 좀 하다 보면 한국어를 로마자로 적어 놓아도 꽤 잘 읽을 수 있게 되지요 외국에서 한국어를 가르칠 때 상당 수준에 이를 때까지 한글을 가르치지 않고 로마자로만 표기한 교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현실적으로 Nanun Sonyonida 는 한국어를 로마 글자로 적어 본 것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두말 할 나위도 없이 파이어폭스의 언어 우선 순위 메뉴에서 '한글로 적은 한국어'라고 할 이유는 전혀 없습니다. 저는 그렇게 해야 한다고 말한 적이 없어요 (네 가지 보기는 언어와 표기 체계를 구별해야 한다는 것을 명백하게 하기 위해 든 것입니다) 단순하게 '한국어'라고만 하면 됩니다. 왜냐하면, 그 메뉴에서 고르는 것은 '한국어'라는 언어이고, 위에서 보기로 든 다른 언어와 달리 현대 한국어 문서의 절대 다수는 한글(+한자+로마자)로 쓰여 있으니까요. 하지만, 다른 언어의 경우에는 표기법까지 같이 골라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zh-Hant는 번체자로 쓰인 중국어를 가리키고, zh-Hans는 간체자로 쓰인 중국어를 가리킵니다.불여우에 '한글로 적은 한국어' 라고 적을 필요는 없겠죠?
한자말, 외래어, 고유어는 모두 단어를 지칭하는 것이지 언어를 지칭하지 않습니다. 아하, 다시 읽어 보니 그런 뜻으로 쓰셨군요.또, 사전에 보면 한글이 고유어를 가리키기도 합니다.한글
① 우리 나라 글자의 이름. 훈민정음 28 낱자 가운데 현대말에 쓰이는 자음 글자 14개와 모음 글자 10개인 낱소리 글자.
② 한자말이나 외래어에 상대하여 우리 토박이말(고유어)을 잘못 일컫는 말.
~ 사전. ~ 이름.
물론, 이렇게 열심히 얘기를 하고 잘못 말할 때마다 온라인/오프라인에서 얘기해 주어도 사람들은 계속 '한국어'를 쓸 자리에 '한글'을 쓸 것이고, 이런 흐름을 거스르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한글'이란 말을 전혀 쓰지 않는 북한과 교류가 좀더 활발해지면 이 흐름에 좀 변화가 생길 수도 있겠지만, 인구를 비롯한 여러 가지 면에서 열세이므로 이런 흐름을 바꾸기에 힘이 부치겠지요.
빛알갱이 님 도움이 되었습니다.
저도 한글과 한국어를 바르게 쓰는 일에 관심이 많은 사람인데요, 한글이라는 용어에 대한 글을 읽고 도움이 되었습니다. 미묘한 문제가 있었네요. 한국어와 한글을 착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보다 더 황당한 경우는, 게임 같은 것을 들여오면서, "음성 100% 한글화" 이런 문가가 자주 쓰이는 것입니다. 한 번은, 한글화를 한국어화로 바꾸도록 요구한 적도 있었습니다.
영어와 알파벳도 혼동하는 사람이 있는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사랑을 Sarang으로 적는 것은 알파벳으로 적은 것이지 영어로 적은 게 아닌데도, 이걸 영어로 적었다고 표현하는 사람이 많이 있습니다.
그건 그렇고, 제가 SharpDevelop이란 프로그램의 한글화를 하고 있는데요, (이번 릴리스에 포함된 한글팩은 여러 가지 사정으로 문제가 많았지만 다음 버전에는 100%), 여기서 Korean의 번역을 '한글'로 할까 '한국어'로 할까 고민 중입니다. 일단은 한글로 해 두었습니다. 한글판이란 용어가 워낙 널리 쓰여서요. 한국어판이라고 하는 게 나을까요?
영어와 알파벳도 혼동하는 사람이 있는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사랑을 Sarang으로 적는 것은 알파벳으로 적은 것이지 영어로 적은 게 아닌데도, 이걸 영어로 적었다고 표현하는 사람이 많이 있습니다.
그건 그렇고, 제가 SharpDevelop이란 프로그램의 한글화를 하고 있는데요, (이번 릴리스에 포함된 한글팩은 여러 가지 사정으로 문제가 많았지만 다음 버전에는 100%), 여기서 Korean의 번역을 '한글'로 할까 '한국어'로 할까 고민 중입니다. 일단은 한글로 해 두었습니다. 한글판이란 용어가 워낙 널리 쓰여서요. 한국어판이라고 하는 게 나을까요?
-
- 서포터즈
- Posts: 98
- Joined: 2003 11 21 15:18 25
말과 글 두가지만 정확히 구분하면 되겠지요.
빛알갱이 님의 긴글이 올라와 있네요...
위에서 말한 '음성 100% 한글화' 같은 것은 정말 생각을 안하고 쓴 것이고요.
영어를 우리말로 했다면 '100퍼센트 우리말로~' 이렇게 적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영어(글자)를 한글로 썼다면 '100퍼센트 한글 자막' 이렇게 하고요.
간단하다고 봅니다.
말과 글. 이 두가지 이지요.
글은 말을 적기 위한 방법입니다.
한국어 : 우리 나라 사람들이 쓰는 말입니다.
한글 : 우리 나라 사람들이 으뜸으로 많이 쓰는 글자입니다.
그렇다면 <한글 모질라>와 언어 선택에서 '한글(Korean)'은 잘못인가?
저는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모질라 프로그램에서 우리말을 대신해서 글자로 적고 있는데 한글을 주로 쓰기 때문에 <한글 모질라>라고 하는 것도 문제가 없다고 보는 것입니다.
물론 어떤 다큐멘터리에서 보니 태국 어느 산골 마을에서 한글을 표기 수단으로 쓴다고 하고, 몽골 어디서도 한글을 표기 수단으로 쓴다고 하더군요.
만일 그 사람들을 위해서 모질라 또는 국제화 프로그램에서 '한글'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면 어떻게 할까요?
그때가서 이렇게 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봅니다.
한글 (한국어; 조선말; 고려말; 우리말) --- 선택 가능
한글 (태국 어느 마을용)
한글 (몽골 어느 지방용)
말이 앞에 가고 글이 뒤에 가는 것도 괜찮겠지만 인터넷으로 만나는 것은 말(소리)가 아닌 글자가 먼저입니다.
그래서 글자를 먼저 적고 소리를 뒤에 적었습니다.
그냥 제 생각입니다.
위에서 말한 '음성 100% 한글화' 같은 것은 정말 생각을 안하고 쓴 것이고요.
영어를 우리말로 했다면 '100퍼센트 우리말로~' 이렇게 적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영어(글자)를 한글로 썼다면 '100퍼센트 한글 자막' 이렇게 하고요.
간단하다고 봅니다.
말과 글. 이 두가지 이지요.
글은 말을 적기 위한 방법입니다.
한국어 : 우리 나라 사람들이 쓰는 말입니다.
한글 : 우리 나라 사람들이 으뜸으로 많이 쓰는 글자입니다.
그렇다면 <한글 모질라>와 언어 선택에서 '한글(Korean)'은 잘못인가?
저는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모질라 프로그램에서 우리말을 대신해서 글자로 적고 있는데 한글을 주로 쓰기 때문에 <한글 모질라>라고 하는 것도 문제가 없다고 보는 것입니다.
물론 어떤 다큐멘터리에서 보니 태국 어느 산골 마을에서 한글을 표기 수단으로 쓴다고 하고, 몽골 어디서도 한글을 표기 수단으로 쓴다고 하더군요.
만일 그 사람들을 위해서 모질라 또는 국제화 프로그램에서 '한글'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면 어떻게 할까요?
그때가서 이렇게 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봅니다.
한글 (한국어; 조선말; 고려말; 우리말) --- 선택 가능
한글 (태국 어느 마을용)
한글 (몽골 어느 지방용)
말이 앞에 가고 글이 뒤에 가는 것도 괜찮겠지만 인터넷으로 만나는 것은 말(소리)가 아닌 글자가 먼저입니다.
그래서 글자를 먼저 적고 소리를 뒤에 적었습니다.
그냥 제 생각입니다.
Who is online
Users browsing this forum: Ahrefs [Bot] and 1 guest